|
예경
|
유교 경전의 하나. 예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기록•편찬한 책. 예기(禮記). |
|
|
|
|
정지화
|
조선후기 형조판서, 대사헌,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. [개설] 본관은 동래(東萊). 자는 예경(禮卿), 호는 남곡(南谷). 영의정 정광필(鄭光弼)의 5대 손이며, 정유길(鄭惟吉)의 증손으로, 할아버지는 정창연... |
|
|
|
권양
|
조선 후기, 자녀교육의 지침서인 『영가가훈』을 저술한 문인. [요약] 권양은 조선 초기부터 한양에 살았던 안동권씨 집안 출신이었는데, 광해군 때 아버지 권전이 충청도 한산 지역으로 이주하였다. 그와... |
|
|
|
최우형
|
1805(순조 5)∼1878(고종 15). 조선 후기의 문신. [개설] 본관은 삭녕(朔寧). 자는 예경(禮卿). 호는 죽하(竹下). 최경(崔炅)의 증손으로, 할아버지는 최헌중(崔獻重)이고, 아버지는 증좌찬성 최종문(崔鍾問)이며... |
|
|
|
발라나마
|
산스크리트어 praṇāma의 음사. 공손한 마음으로 절함. 경건한 마음으로 절함. 예배. 예경(禮敬). |
|
|
|
고좌
|
하남(河南) 태강현(太康縣) 사람으로 자는 예경(禮卿)이다. 명(明)나라 때 관리이다. 건문(建文) 2년(1400) 진사(進士) 출신으로 벼슬은 장랑지현(莊浪知縣), 어사(禦史), 강서안찰부사(江西按察副使), 응천윤... |
|
|
|
예경거리
|
황해남도 은률군 금산포노동자구의 동남쪽에 있는 마을. 옛날 예경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한다. 앞거리라고도 한다. 마을 근처에 관산천이 유입되어 있다. 현재 소재지마을인 증산부락에 통합되어 있다. |
|
|
|
《예경》에 대하여 5수
|
정약용이 유학의 주요 경전인 육경에 대하여 각각의 의리를 논한 〈경의시〉 가운데 《예경》에 대한 시. [번역] 《예경》에 대하여 5수 1 지금의 홀기(笏記) 같고 옛날의 〈용경(容經)〉 같은 남은 글 십칠 편이... |
|
|
|
시가라월육방예경
|
1권. 후한(後漢)의 안세고(安世高) 번역. 시가라월(尸迦羅越)은 팔리어 siṅgālaka의 음사, 선생(善生)이라 번역. 시가라월이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육방에 예배하는 것을 본 붓다는 그런 단순한 예배는... |
|
|